
오늘은 환율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합니다.
<환율 변동의 원인과 영향>
환율의 오르내림은 외화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결정됩니다.
(외화의 공급: 서비스 수출, 자본유입, 외국인의 국내투자, 외국인의 국내여행 등)
이렇게 결정된 환율이 상승할 때, 그리고 하락할 때는 여러 가지 사회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어떤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지 먼저 확인해보겠습니다.

외화수요 증가시 환율은 상승하고 원화가치는 하락합니다. (=원화약세/원화평가절하/달러가치상승)
예를 들어 환율이 1,000에서 1,100으로 올랐을 때 기존에 1,000원으로 살수 있었던 1달러를 1,100원에 살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이는 수출증가, 수입 감소 효과로 경기성장 및 회복에 도움이 되기도 하나, 국내 물가인상, 수입 원자재 가격상승, 외화표시 부채부담 등으로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주기도 합니다.
반대로 외화수요 감소시 환율은 하락하고 원화가치가 상승합니다. (=원화강세/원화평가절상/달러가치하락)
→ 그 때 나타나는 효과는 환율상승시 나타나는 효과와 반대가 됩니다. 수출이 감소하고, 수입이 증가하며, 국내 물가는 하락합니다.
<환율 전망>
수출과 수입을 업으로 삼으시는 분들, 그리고 환율을 통해 어떤 방식이든 제테크를 하려는 분들에게는 환율 예측이 중요할 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미래의 환율 추이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을까요?
답부터 이야기하자면 정답은 노!입니다. 너무 많은 외부의 요인에 따라 환율이 변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더라고 환율 추이를 대강으로 예측하기 위한 다양한 지표는 있습니다.
☆ 금리와 환율 ☆
통상 금리가 오를때 환율이 하락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항상 그런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장 단기 금리를 살펴보는 것은 환율 예측에 도움이 되는 방법입니다.
현재는 미대선을 앞둬 그 결과에 따른 금리변동 추이가 주목되는 가운데, 그 때까지 계속 떨어진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 환율 그래프 ☆

지난 3년간의 환율 오르내림 그래프를 보겠습니다. 2020년 10월 현재 외환은행 고시환율도 1133으로 최근 상당히 많이 하락했지만, 3년 동안의 그래프로 보면 가장 낮은 수치도 아닙니다. 거의 평균치에 가까운데요. 여기에서 그래프가 계속해서 하락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 겠습니다.
일반적으로 환율은 주식 같은 변동성이 큰 그래프와는 다르게 최대로 1000~1300내에서 움직이고 있습니다. 국가에서 그 이상, 또는 그 이하로 움직일 수 없도록 최대한으로 조정하려고 하기 때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환차익을 보고 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에게는 주식이나 펀드 보다는 어쩌면 안전한 투자처로 느껴지는지도 모르겠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수수료 및 투자기간 등 여러가지를 생각해봐야될 것들이 많다는 것 기억하셔서 오르내리는 환율을 잘 활용하시기를!
'제테크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페이북 머니박스 - 앱테크 (100% 당첨) (1) | 2020.10.29 |
---|---|
특판적금 추천 - 농협 올원Five 적금 (0) | 2020.10.23 |
케이뱅크 코드K 자유적금 (연 5%) (0) | 2020.10.22 |
유미의 세포들 X 우리은행 200일 적금 이벤트 (0) | 2020.10.17 |
청년특별구직지원금 2차 신청방법 및 관련정보 (0) | 2020.10.13 |
댓글